ELASTICSEARCH8 [엘라스틱서치] 2. 데이터 추가하기 classes라는 인덱스를 GET으로 조회해보면, 아직 만들어진 인덱스가 없어서 오류가 뜬다. 1. 인덱스 만들기 - PUT 2. 생성한 인덱스 조회 - GET 3. 인덱스 삭제 - DELETE 삭제한 후에 다시 조회해보면, 삭제했기때문에 오류가 나온다. 5. PUT 으로 다시 인덱스 생성한 후 문서 생성하기 -> ( [표현법] POST/인덱스명/_doc/id )하고, 안에 내용 넣기 생성한 문서 확인해보기 -> 인덱스 번호 1번인 것 조회 만약 ID를 넣지 않고 문자를 생성하면, 문자 + 숫자 조합으로 ID가 자동으로 생성되는데 이는 권장하지 않는다. ID로 검색해오기때문 이는 키바나 뿐 만아니라, 포스트맨에서도 조회가 가능하다. 6. 내용 수정 - 기존에 있는 내용을 수정해본다. "hello"라고 넣.. 2024. 3. 11. [엘라스틱서치] 1. 개념 및 설치 ELASTICSEARCH 개념 :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, 분석 및 검색하는 엔진 아파치 루씬을 사용하여 개발 루씬 : 전문 색인과 검색을 지원하는 확장 가능한 고성능 정보 검색 JSON 문서기반 저장 및 검색 ELK 스택으로 제공 E ( ElasticSearch ) : 데이터 저장 및 검색 L ( Logstach ) : 데이터 수집 로그 스태시는 데이터의 입력, 변환, 출력을 실시간 파이프라인으로 처리하는 오픈 데이터 수집 엔진 다양한 입력소스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수집하여 변환한 후 자주 사용하는 스태시-보관소로 전송 K ( Kibana ) : 데이터 시각화 및 리포팅 분석 사용 사례 위키피디아 전문 검색 수행 실시간 타이핑 검색 추천 검색어 기능 깃허브 1300억 줄이 넘는 소스 코드를 검색하는데 사용.. 2024. 3. 11. 이전 1 2 다음